다빈치리졸브_색보정 관련 스터디 #1
HDR에 대해서.
HDR 이란
다이나믹 레인지란? 역동적인 범위.
순수한 블랙에서 순수한 화이트까지의 변동폭을 의미한다.
SDR이 0~ 100니트 까지라면 HDR은 0~10000니트까지의 변동폭을 의미한다.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 제일 어두운 곳에서부터 제일 밝은 곳까지의 범위가 넓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모니터는 SDR, standard dyamic range 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안구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측정하는 단위는 STOP 이다.
안구는 가변 개조를 가지고 있어서 전체 크기를 보자면 40 STOP 정도라고 한다.
동공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 16~18STOP 정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보여준다.
REC. 709 환경의 대부분의 모니터는 7반 STOP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보여준다.
얼굴 톤 기준으로 노출을 맞추었을때, 완전히 어두운곳의 데이터와 완전 밝은 창밖의 데이터는 보여줄 수가 없다.
따라서 눈과 최대한 비슷하게 촬영하고, 보여주기 위해서 SDR보다 넓은 범위를 의미하는 HDR 이 나왔다.
SDR과 HDR의 밝기 차이는 100니트와 10000니트 차이다.
수치상으로 커보이지만 실제로는 두배 정도 밝다.
겨우 두배 밝히는 기술도 아직까지 완벽하게 구현을 하지 못한 상태라 카메라마다 STOP을 담는 양이 다르다.
red 웨폰 카메라가 16반 STOP
canon C200 카메라가 13반~14STOP 의 촬영을 할 수 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빈치리졸브_color palette_JOKER FINAL TRAILER (0) | 2020.05.21 |
---|---|
다빈치리졸브_색보정 관련 스터디 #2 (0) | 2020.05.16 |
시네마4D | 왕좌의 게임 패러디 영상 (0) | 2018.04.10 |
에프터이펙트 애플 로고 버전 (0) | 2018.04.10 |
after effect | 영화 같은 제목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