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빈치리졸브_색보정 관련 스터디 #2
영상 포멧 관련 내용
HD
FHD 는 REC.709 영상 포멧을 기준으로 만든다.
8bit 256색을 사용해 좁은 다이나믹 레인지 SDR 공간을 표현한다.
8bit는 256 * 256 * 256 으로 16백만 컨러를 가지고 있다.
HD는 960 * 720p는 1K, FHD는 1920 * 1080 이라 2000에 가깝다는 이유로 2K 해상도를 가진다.
REC.2020 포멧은 REC.709가 표현할수 있는 색이 눈에 비해 너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겨난 포멧이다.
10~12bit 영역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영상이다.
UHD로 넘어가면서 다양한 파벌이 생겼다.
원래는 UHD부터 REC.2020 영상 포멧으로 바뀌어야 하지만, 기술상의 이유로 단계가 생겼다.
UHD-1에서 Phase-1 포멧은 우리나라에서 자주 쓰였는데, REC.709 포멧의 FHD 영상을 4개 붙여서 4K를 만들었다.
8bit 영상 네개를 붙여서 4k를 만든거기 때문에 짝퉁 4K로 불린다.
Phase-2포멧은 프리미엄 UHD라고 부른다. REC.2020 포멧으로 10bit, 3840*2160 영상이다.
3840이 4000에 가깝기 때문에 4K라고 부른다.
UHD-2 포멧이 8K 10bit 7680 * 4320 이다.
10bit 포멧은 1024 * 1024 * 1024 = 10억 컬러를 표현한다.
UHD-2 부터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거의 똑같다고 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빈치리졸브_color palette_JOKER FINAL TRAILER #2 (0) | 2020.06.30 |
---|---|
다빈치리졸브_color palette_JOKER FINAL TRAILER (0) | 2020.05.21 |
다빈치리졸브_색보정 관련 스터디 #1 (0) | 2020.05.16 |
시네마4D | 왕좌의 게임 패러디 영상 (0) | 2018.04.10 |
에프터이펙트 애플 로고 버전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