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SnowMan's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728x90

뽐뿌 펌입니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computer&no=187689

 

 

 

 

 

 

 

커스터마이징 PC 부품 견적의 가이드는 업데이트 하지 않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광고쟁이 꿈꾸는 하츠입니다 ㅎ_ㅎ
먼저, 이 글은 게임용 PC 가 아닌 영상편집 & 3D 작업 등을 전문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PC 견적 가이드 글입니다.

게이밍 PC를 찾는사람이 압도적이지만
가끔 보면 영상편집 & 2D, 3D 디자인 작업용을 찾는분들이 많이들 계시더라고요 ㅎㅎ
저는 그쪽 업계에서 현업을 종사하고 있으면서 PC조립에 관심이 많고
나름 하드웨어 빠돌이(?) 라서.. 소박하지만 경험에서 우러러 나왔던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영상편집] PC에서 가장 중요한 것 [CPU에 대해서]

먼저 하드웨어를 조립하기에 앞서 본인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장 잘알아야합니다.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가 어도비사 스리즈일거라 생각합니다.

어도비 프리미어 CS5 이상부터는 64비트 전용이며, 따라서 모든 스레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CPU의 코어갯수, 스레드수가 렌더링속도를 많이 좌우합니다.

 



 

 

위에 보시는 CPU 점유율은, CS5.5 에펙 결과물 출력 / 프리미어 출력 등 인코딩 과정에
점유율입니다. 8개의 스레드를 고루고루 다 쓰고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램도 16기가는 우습게 점유합니다. 따라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프리미어 & 에펙 CS5 이상 스리즈를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CPU 코어갯수와 스레드가 많은 편이 유리.
램은 다다익선. 최하 16기가를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이하,  일반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베가스 라는 툴은.. 저는 한번도 써본적이 없어서 ㅜㅜ
현업에서는 베가스는 안쓰니까.. 무슨 프로그램이 더 좋아요? 라는 비교는 할 수 없습니다;
아마추어나 일반 UCC 제작 등 일반인들이 취미로 영상을 즐기기에 사용하는거 툴 같습니다..

현업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라고 한다면

컷 편집 툴로는

1. 파이널컷 (맥 OSX) 2. 아비드 3. 프리미어  4. 에디우스 정도가 되겠습니다..

2D 모션 & 3D 모션 툴로는

1. 에펙이 압도적이구요. 2. 시네마 4D 툴이 모션 3D 툴로 사용됩니다.

더 정교한 3D 툴 들은 마야 & 3D MAX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영화에서 여러분들이 보시는 VFX / 특수효과 / 트랜스 포머 나 아바타 같은 엄청난 CG 작업들은
별도의 자체 개발 CG 툴 혹은 [후디니] 라는 프로그램이 사용됩니다.

이처럼, 본인이 어떤 툴을 사용하고, 그 툴은 64비트 프로그램인지, 램 최대 활용도가 얼마인지
CPU는 얼만큼 사용되는지를 먼저 알아보셔야 합니다^^

무작정 영상편집은 CPU가 중요하다.. 라고만 단편적으로 알면 100만원이 넘는 PC를 사고도
느리다는 실망감으로 돌아올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2. 그래픽카드는 워크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니 중상급 이상이 좋습니다 [그래픽에 대해서]

 



 

렌더링은 CPU만 사용합니다. 그러니 CPU가 좋으면 렌더링은 빠르겠지만..
흔히들 간과하시는 부분이 [워크플로우] 즉, 중간 작업 과정입니다.
영상편집이나 에펙 같은 경우 작업하는 내내.. 레이어를 쌓고 또 쌓으면서
프리뷰 창을 항상 보게 됩니다.

이 프리뷰 창은 설정에 따라 좋은 화질.. 또는 자글거리는 저화질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만큼은 항상 GPU가 감당하고 있습니다. 즉 그래픽카드 성능에 따라
느리거나 빠르거나 하는 부분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좋을 필요도 없습니다. 왜냐면 그래픽 성능이 프리뷰 작업 과정..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20만원 이상으로 올라가면 가격대비 성능에 만족하기 어려워지십니다ㅎ
확실한 차이를 경험하시려면, 일반 그래픽 카드인 [지포스] 나 [라데온] 이 아니라

[쿼드로] 나 [파이어웍스] 등 전문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하며,

이 카드들이 특화되어 더 비싼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위에 말한 워크플로우 과정에서
사용되는 GPU 성능에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히 부드럽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에펙이나 프리미어 사용하실때 타임라인에 영상이나 레이어를 많이 올리고
앞으로 갔다 뒤로 갈때 버버벅 대거나 프리뷰 창이 지글 거린다고 느낀적 있으신가요?

그것이 바로 그 PC의 그래픽카드 성능을 나타내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엔디비아의 [쿠다] 를 활용한 머큐리엔진 이라는 특징 때문에
때문에 프리미어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엔디비아 지포스 스리즈를 찾으시는데..

물론 머큐리엔진을 사용하면 좀 더 빠른 편집이 가능하지만..
현업에서는 무조건 OFF 하고 사용합니다. 
이유는.. 불안정한 화질때문입니다.  원인은.. 계속 업데이트 되다보면 개선될 부분이겠죠^^;

따라서, 기호에 맞는 그래픽을 맞추시면 됩니다.
그래도 쿠다 지원이 되는건 좋으니 저는 개인적으로 엔디비아 추천드립니다~^^

+
추가사항.

절대 그렇다고 100만원짜리와 20만원짜리가 전혀 차이가 없진않고,
gtx680 이나 타이탄 급이 되면, 그래픽카드에 따른 성능차이가 눈에 띌만큼
나기는 납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시스템 전체 가격 자체가 확 뛰기 때문에
같은 가격이면, 다중코어로 가는걸 추천드리는 바 입니다.


3. 램은 일단 많아야 합니다. 

램은.. 64비트 프로그램일수록 무조건 많으면 좋습니다. 게임용은 솔직히 8기가 이상 추천 안드리는데
영상편집은 일단 많아야 합니다.

 



 

16기가도 다 사용합니다..  20기가 이상부터 여유가 조금씩 남네요^^;
이 부분은 거두절미하고 일단 램은 다다익선이라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4. SSD 가 진리라고만 생각하나요? 아닙니다..ㅎㅎ

자, SSD는 엑세스 타임이 빨라 윈도우 부팅 속도나 프로그램 로딩속도가 빨라지고
전송속도 또한 일반 하드에 비해 월등히 빠릅니다.

하지만, 영상편집에서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왜?

프로그램이나 윈도우는 자잘한 파일들.. 정말 저용량 파일이 수천, 수만가지입니다.
이런걸 4k 파일이라 부릅니다. 그걸 불러오는건 SSD 가 엄청나게 빠릅니다.

하지만, 영상편집에 사용되는 촬영소스는 적어도 몇메가 에서 많게는 몇기가 짜리 파일입니다.

이렇게 1개의 파일, 큰 용량의 파일을 옮기는 속도는 HDD 와 SSD 와의 차이가 
눈에 잘 띄지가 않습니다.. 무엇보다 일단 영상편집에서는 용량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SSD가 용량이 1테라 이상이 되지 않는 이상 영상편집 작업에 있어서는
HDD 를 2개 이상 레이드로 묶어서 사용하는게 정말 엄청난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레이드란 무엇인가?

동일 용량 하드를 여러개를 동시에 묶어서 1개로 인식해 사용하는 것으로
1개의 파일을 여러개 하드에 나눠서 저장함으로 
전송속도는 하드갯수만큼 빨라집니다.

백업용, 안전성을 위한 레이드 기술이 있고, 속도를 위한 레이드 기술이 있지만
더 자세한건 생략할게요^^;

물론 앞서 말씀드렸듯이, 프로그램 로딩/ 윈도우 부팅 속도는 SSD가 빠르기에

추천드리는건, 80기가 - 120기가 안쪽의 SSD 에 OS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소스 경로는 HDD로 두되 2개 이상을 레이드로 묶어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케이스는 소음에 강하고 안전성이 좋은 두께가 평균 0.8T 이상 되는 녀석이 좋습니다.

쿨링에 신경쓰는 트랜드가 언제부터 였는지 모르지만.. 영상편집과 작업은
안전성이 가장 중요시 됩니다. 따라서 오버클럭 보다는 펙토리 클럭 [기본클럭] 을 사용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따라서 쿨링은 전면 흡기홀만 있고, 뒷면 120mm 뒷면 팬 하나만 있어도
전혀 문제없습니다 ㅎㅎ 다만 하드가 많아지게 되면 진동.. 이런 부분 신경써야하구요.
전체적으로 튼튼한게 좋습니다^^


6. 파워는 진리의 [효율]


파워는, 게이밍이나 작업용이나 별반 차이없이 당연히 효율이 중요합니다. 용량이 아니구요 ㅎㅎ
근데, 작업용에서는 반드시 하나 더 확인 해야 하는게 있습니다.


바로 SATA 전원 케이블 갯수.. 6핀/8핀 갯수 등등.. 지원하는 파워 선 가닥 수가 
아주 중요합니다.. 하드는 계속 소스가 차면 또 연결 해줘야 하는 부분일텐데

DVD 롬도 아무래도 게이밍이 아니고 작업용이다 보면 설치 해야할테구요.

그렇다면 SATA 케이블과 더불어 SATA 전원케이블도 많이 필요합니다.
못해도 6개 이상은 나중을 위해 필요하니.. 이부분 확인해서 구매하셔야합니다

 

7. 간단 요약정리


1. CPU 

[ 코어갯수 많은것, 스레드 많은 것, 렌더링 때는 빠를수록 좋으나, 중간 영상편집 

과정은 그래픽도 한몫 하니 적잘한 조합이 필요로 합니다.]


2. RAM [많을수록 다다익선]


3. SSD & HDD [ SSD 가 빠른건 확실하나, 영상편집 작업 과정엔 고용량 HDD 를 여러개 묶는게 이득.]


4. VGA [ 그래픽은 프리뷰 창이나, 전반적인 작업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현업에서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그냥 20만원대가 가장 적정선.]


5. 파워 [효율이 중요하며, SATA케이블 갯수가 몇개가 되는지 확인 필요]


6. 케이스 [ 평균 두께 0.8T 이상 튼튼한 놈, 120mm 3개 이상의 과도한 쿨링은 필요없다고 봐도 무방.]

 

영상편집 이나 동종업계 꿈을 꾸는 후배들이나 친구들

그리고 같은 꿈을 꾸며 걸어가는 사람들에게 조금은 생소할수도 있는 하드웨어 지식이..

이번 글을 통해 조금은 도움이 되어서

영상편집이나 관련 작업용 PC 구매에 참고하시거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