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 프로 cs6 무작정 따라하기
프리미어 프로 cs6 무작정 따라하기
학교에서 대여했습니다.
빠르게 필요한 부분만 읽고 반납하겠습니다.
Q>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32비트 입니다. 프리미어 프로 cs6를 설치할 수 없나요?
프리미어 프로 cs6는 64 비트 운영체제 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과거 64 비트 운영체제는 호환성 문제가
있었으나 윈도우 7 부터 호환성 문제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32비트 운영체제는 램 4gb 를 넘어가는 부분을 인식하지 못하니 4기가 램 이상의 컴퓨터에서는
64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해 주시고, 프리미어 역시 64비트에서 사용하세요.
편집 용어
cut : 편집의 기본 단위
shot : 레코딩 단위의 영상
Scene : 한 장소/ 같은 시간의 사건이나 상황
Sequence : Scene 의 집합
Insert : 샷 중간에 다른 샷으 ㄹ끼워넣기
overlay : 덮어쓰기
lift : 필요 없는 부분 추출
Extract : lift + 지워지고 남은 부분을 삭제하여 앞 뒤로 붙임
parallel cutting : 평행 편집 > 다른 두 장소에서 일어나는 일을 번갈아 가면서 보여줌
cross cutting : 교차 편집 > 같은 장소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번갈아가며 보여줌
Cuntinuity Editing : 연속 편집 >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여줌
Cut Back : 다른 장면이 나타났다가 원래 장면으로 돌아감
Flash Back : 이야기 전개중 과거로 거슬러 올라감
TC : time code > 영상이나 테이프에서 시간
BGM : Back Ground Music
Keying : 영상 신호를 중첩으로 다른 영상이나 이미지를 삽입
OL : Overlap > 다른 두 장면을 겹쳐서 보여줌
NAR: Narration 나레이션
F.I : Fade In > 점점 밝아짐
F.O : Fade Out > 점점 어두워짐
Dissolve : 앞 화면이 사라지면서 뒷 화면이 겹쳐 나타남
Wipe : 쓸려 지워지면서 다른 화면
Push : 밀려나면서 장면 전환
화면 크기 용어
ECU ( Extreme Close-Up) >> 인물의 특정 부위를 화면 가득하게 보여준다.
CU ( Close - Up ) >> 인물의 얼굴 전체를 보여 준다.
BS ( Bust - Shot ) >> 가슴 위쪽
WS ( Waist - Shot ) >> 허리 위쪽
MS ( Medium Shot ) >> 허리와 무릎 중간 부분 부터 위쪽
KS ( Knee Shot ) >> 인물 무릎 부터 위쪽
FS ( Full Shot ) >> 인물의 전신
LS ( Long Shot ) >> 원거리 샷
ELS ( Extreme Long Shot ) >> 아주 먼 샷
카메라 앵글의 종류
대 부감 ( Extream High Angle ) > 굉장히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앵글
부감 ( High Angle ) 피사체 보다 위에서 촬영, Bird's Eye Biew 라고 하며 피사체의 왜소함 연출
아이 레벨 ( Eye Level) 피사체의 눈높이, 편안하고 안정적인 분위기
앙각 ( Low Angle ) 낮은 곳에서 위로 촬영, 우월감 연출
영상 포맷의 종류
SeQuence Presets
* AVCHD( Advanced Video Codec High Definition ) - 소니와 파나소닉이 2006년 중반에 선보인
고선명 영상 코덱인 MPEG4(H.264)를 사용 720p~ 1080P(Full HD)화질의 해상도 구현
순차 주사 ( Progressive Scaning )
차례대로 주사되는 방식. 대역폭이 부족하면 끊김
격행 주사 ( Interlace Scanning )
1개 프레임 2개 필드 > 대역폭을 반으로 줄이면서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음.
720p > 화면 해상도가 1280 X 720 인 순차 주사 방식 준 HD 급 화면
1080i > 화면 해상도가 1440 X 1080 격행 주사 방식 HD 급 화면
1080p > 화면 해상도가 1920 X 1080 순차 주사 방식 Full HD 화면
Clip Mismatch Warning 경고 메시지 창은 Time line ㅠㅐ널에 처음으로 삽입하는 소스와
시퀀스 설정이 일치하지 않을 때 표시.
Change sequence settings > 소스에 맞게 시퀀스 설정 변경
Keep existing setting > 기존 시퀀스 설정 유지
Time remapping
거꾸로 가도록 만드는 편집. 오디오는 변하지 않아 오디오 싱크가 망가진다.
====================================================================
스틸 이미지에서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 액자 속 그림이 동영상이 됨 ]
포토샵에서 이미지 매트 소스 만들기
포토샵에서 이미지를 불러오고 동영상을 출력할 만큼 백그라운드 레이어에서 삭제.
PSD 포멧으로 저장.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도비 프리미어 cs6 (0) | 2014.04.09 |
---|---|
컴퓨터 구조 (0) | 2014.03.18 |
데이터 통신 #1 (0) | 2014.03.06 |
프리미어 cs4 배우기 (0) | 2014.02.20 |
겨울 왕국 올라프 그리기 (0) | 2014.02.15 |
WWW. 는 무엇의 약자인가?
http 란?
WAP 는 무엇의 약자인가?
LAN 의 구조에는 대표적으로 성형, ( ) , 링형 구조 등이 있다.
MAN 은 대도시 ( 메트로폴리스) 정도의 넓은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형태이고,
LAN 의 확장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MAN 의 약자는?
WAN 은 광범위한 지역을 수용하며, 하나의 국가 내에서 도시와 도시,
혹은 국가와 국가 간의 연결하려는 목적으로 수백 ~ 수천 KM 까지의 범위를 포함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역 네트워크 시스템을 말한다. WAN 의 약자는?
전송 미디어와 교환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 ) 로 구분하기도 한다.
무선 PAN 기술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기술이 있다. PAN 의 약자는?
네트워크 전송 기술 방식으로 나우었을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네트워크의 범위로 나누었을 때 몇 가지의 경우가 있으며 각각은 무엇인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5가지 필수적인 요소 중 비어진 칸을 채워보시오.
- 메시지 : 통신을 하고자 하는 정보로 텍스트, 숫자, 그림 혹은 비디오 정보 등으로 구성
- 전송장치 :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전화단말기,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 수신장치 :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
- 전송미디어 : 메시지가 전달되는 실제 전송로
- :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규칙들로 구성
(* ) 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로 대학 캠퍼스 또는 건물 등과 같은 일정 지역 내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10~1000Mbps 의 전송 속도로 동작한다.
(**) 는 광범위한 지역을 수용하며, 하나의 국가 내에서 도시와 도시 간을, 혹은 국가와 국가 간을 연결하려는 목적으로
수백 KM 에서 수천 KM 까지의 범위를 포함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역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 기술이란,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키고 하나의 데이터 통신의 기준을 둠으로써 다양한 하드웨어 기술의
결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술이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0) | 2014.03.18 |
---|---|
프리미어 프로 cs6 무작정 따라하기 (0) | 2014.03.17 |
프리미어 cs4 배우기 (0) | 2014.02.20 |
겨울 왕국 올라프 그리기 (0) | 2014.02.15 |
겨울왕국 엘사 그리기 [튜토리얼] (0) | 2014.02.12 |
프리미어 cs4 배우기
동영상 편집에 재미를 붙여 프리미어를 공부하려 합니다.
교재는 이걸로 정했습니다.
교보에서 열심히 찾아다녔는데, 생각보다 괜찮은 교재가 없네요.
그래서 중고 책방 알라딘에서 그나마 나은 걸로 골랐습니다.
챕터 1 영상과 코덱
동영상을 캡쳐하거나 수정할 때 쓰는 확장자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AVI - audio video interleaverd 의 약자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가 내부적으로 번갈아 기록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대표적인 동영상 포멧입니다.
요새는 잘 안쓰는 추세인듯합니다.
MPEG
국제 표준기구에서 제정한 형식으로
압축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균등하게 16x16 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의 위치를 인식시킨 후에 다음 영상에서 움직임이 있는 블록만 다시 저장함으로서
압축된 영상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MPG 또는 MPEG 등의 확장자를 가집니다.
MPEG-1
디지털 저장매체에 사용되며 전송량은 1.5Mbps 입니다.
해상도는 360x240 이며 저해상도로 사용됩니다.
MPEG-2
방송,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며 전송량은 2~45Mbps 입니다.
720X480 또는 1920X1080의 해상도입니다.
MPEG-1 의 화질을 개선하여 만든 고해상도 포멧이며
디지털 방송이나 DVD 영상에 사용 됩니다.
프리미어에서 대체로 dvd 레코딩으로 사용합니다.
MPEG-4
방송, 통신 분야에 사용되며 전송량은 64Kbps 이상입니다.
해상도는 2와 같으며 웹과 같은 저 전송률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압축, 저 노이즈 기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WMV
Windows Media Video 의 약자입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위주로 사용됩니다.
MOV
매킨토시에서 사용되는 동영상 포멧으로 퀵타임 무비라 부릅니다.
PC 에서는 퀵타임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합니다.
높은 압축률과 좋은 화질을 보여줍니다.
코덱이란?
코덱은 Compression-Decompression 의 약자입니다.
영상을 캡쳐하거나 변환할 때 용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Divx
작은 용량에도 불구하고 DVD 급 화질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기가 높은 코덱입니다.
장시간 재생이 필요한 영화 등을 인터넷을 통해 배포할 때 많이 사용되며
용량대비 화질이 좋은 편입니다.
XviD
DivX 코덱의 버전업입니다.
MPEG4를 기반으로 합니다.
H.264
디지털 TV영상을 비롯하여 고해상도 HD 영상이 보편화 되면서 파일의 용량이 더욱 커지게 됨에 따라
등장한 높은 압축률을 갖는 코덱입니다.
HDTV 수신카드에서 캡쳐한 1920X1080 고 해상도 TP 파일을 1/4 정도의 크기로 압축하면서도
원본과 유사한 화질을 보여줍니다.
다만 H.264 코덱을 사용한 영상은 재생 시 CPU 리소스를 많이 차지합니다.
새 프로젝트를 만들면 나오는 설정화면.
특별히 만질 부분은 없습니다.
작업 및 제목 보호 영역
외부 아날로그 뫼니터로 출력하는 경우 가장자리 부분이 잘려나가는데
잘려나가지 않고 제대로 보이는 부분을 safe area 라고 합니다.
tv 등 외부 모니터로 출력했을때 고려하는 부분이라 생략합니다.
비디오
네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타임 코드 > 프레임의 위치를 시간:분:초:프레임 형식으로 표기합니다.
feet + Frames 16mm : 16mm 필름에서 사용하는 타임 코드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feet + Frames 35mm : 35mm 필름에서 사용하는 타임 코드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프레임 > 오직 프레임 만으로 타임 코드를 표시합니다.
시퀀스 사전 설정
AVCHD (Advanced Video Codec High Definition)는 소니와 파나소닉이 2006년 중반에 선보인 고선명 녹화 포맷이다. 8 센티미터의 녹화 가능 DVD 디스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억 장치를 지원한다. 이 포맷은 특히 HDV와 미니DV와 같은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 녹화 포맷과 경쟁하고 있다.
디브이(DV)는 1996년에 시작된 디지털 영상 포맷이다. DV의 작은 형태인 미니DV(MiniDV)는 준전문급 비디오 및 홈 비디오 생산에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물론 영화 제작, ENG와 같은 전문적인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DV 규격은 블루 북(Blue Book)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공식 이름은 IEC 61834이고, 코덱과 테이프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단순한 편집의 경우 인트라프레임 압축을, 비선형 편집 시스템 (IEEE1394, 곧 파이어와이어)의 경우 표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비디오 8, 하이 8, VHS-C와 같은 초기 소비자 아날로그 포맷과 견주어 볼 때 화질이 좋다. DV는 이제 영화 제작자들이 영화를 값싸게 만들 수 있게 도와 주며, 독립 영화와 시민 저널십과 굳건히 연계하고 있다.
HDV는 고가가 아닌 고선명 비디오 녹화 포맷이며 MPEG-2 압축을 사용하여 HD 콘텐츠를 DV나 미니DV 테이프에 기록한다. 더 높은 대역의 HD 기록 방식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으며 일부 유명한 TV 쇼를 포함하여 여러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XDCAM은 테이프가 없는 전문 비디오 시스템으로 소니가 2003년에 도입하였다. 처음 두 세대, XDCAM과 XDCAM HD는 프로페셔널 디스크(PFD)를 기록 매체로 이용한다. 이 디스크는 블루레이 디스크와 비슷하며 23 기가바이트의 데이터(PFD23, 단면) 또는 50 기가바이트의 데이터(PFD50, 양면)를 담을 수 있다. 3세대 XCDCAM EX는 솔리드 스테이트 SxS 카드를 사용한다. 2008년 11월에 JVC는 XDCAM EX 포맷을 지원하기로 소니와 계약을 맺었다.
제작할 영상의 포멧을 결정하는 부분인듯 합니다.
책에는 자세한 설명이 없네요.
유투브에 업로드할 고화질 HD 영상을 편집할 예정이므로
HDV 로 설정합니다.
프레임 속도는 29.97프레임/초 이고오디오 샘플 속도는 48000샘플/초 입니다.
뒷부분에 나와있군요.
시퀀스 프리셋은 미리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곳입니다.
옆에 General 탭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터레이스와 넌 인터레이스
인터레이스랑 비월주사 방식으로 프레임을 두번에 걸쳐 뿌려주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tv 방송에서
사용 되는 방식입니다.
논 인터레이스 방식은 흔히 프로그래시브 스캔방식으로 부르고, 영화나 컴퓨터 모니터를 사용한 영상은
대역폭에 대한 제약이 없으므로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만들어진 화면입니다.
시퀀스 01 아래 부분을 더블클릭하거나
메인 메뉴의 File > import 에서 불러올 수 있습니다.
mkv 파일 형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불러온 파일 옆의 아이콘을 드래그 하여 타임라인 패널로 옮깁니다.
클립이란 프리미어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작업을 위하여 불러온 파일을 클립이라고 부릅니다.
트랙은 편집을 위하여 클립들을 배치해 놓는 곳으로 타임라인 패널에 있습니다.
사진 속의 비디오 1,2,3 오디오 1,2,3 등이 트랙입니다.
마우스 포인터의 도구들을 위한 부분입니다.
영상을 잘라내기 위해서는 화살표 아래아래에 있는 면도날 razor 을 사용합니다.
타임라인의 클립에서 원하는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영상이 잘라집니다.
클립의 트랙에 올려놓은 영상의 끝에서 드래그를 하면
그만큼의 영상이 잘려나갑니다.
단축키
J 역재생
K 정지
L 재생
J 누른 상태로 K > 느린 역재생
L 누른 상태로 K > 느린 재생
편집한 영상을 보고 싶으면 그냥 스페이스바로 실행시켜도 되나,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랜더 프리뷰를 실행합니다.
랜더링 시간이 끝나면 타임라인에 빨간색 바가 초록색으로 변한 걸 알 수 있습니다.
초록 부분은 랜더링이 끝난 부분이고, 빨간 부분은 편집되어 다시 랜더링 해야 되는 부분입니다.
한번 랜더링 한 이후에는 전체를 다시 랜더링하지 않고, 편집된 부분만 빨간색으로 변하여 부분적으로 랜더링합니다.
프리뷰 랜더링 파일도 용량이 크기 때문에 작업이 모두 완료 되면 시퀀스의 작업 영역 랜더링 파일 삭제로 지워줍니다.
클립의 표시 방법 입니다.
헤드는 영상의 시작부분/ 테일은 끝 부분입니다.
사진처럼 모든 프레임에 영상을 출력하고 싶으면
프래임 표시를 클릭합니다.
클립의 내용을 잘 파악할 수 있지만 용량이 큰 다수의 클립을 사용할 때는
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길이가 긴 편집을 할 때 시퀀스 원점을 수정해 주면
시작 지점을 뒤로 옮길 수 있습니다.
소스 모니터에서 인점과 아웃점을 설정한 후
컨트롤을 누른 상태로 타임라인에 드래그 하면 나타나는 장면.
원래 있던 클립을 잘라내서 뒤로 밀어내고,
현재 삽입하는 클립을 집어 넣습니다.
Edit > Preferences > General 에서
Time line Play back Auto -scrolling 메뉴를 클릭하면 3개가 나옵니다.
스크롤 안함 > 클립이 재생될때 재생 시점과 관계없이 동일한 부분만 보여줍니다.
페이지 스크롤 > 현재 영역을 벗어나면 다음 영역을 보여줍니다.
부드러운 스크롤 > 재생 눈금이 항상 중앙에 나타나도록 보여줍니다.
가운데 화살표 위치에서 노란색 줄의 조절이 가능합니다.
불투명도를 조절할 것인지, 동영상의 속도를 조절할 것인지 선택 가능합니다.
이후 왼쪽 화살표의 클리핑 마스크로 위치를 정하고, 오른쪽의 화살표에서 노란줄을 움직여 조절합니다.
파일 > 새로만들기 > 제목 ( Title )
로 들어가면 나오는 부분입니다.
또는 제목 ( title) > 기본 스틸 ( default still ) 로도 들어갑니다.
자막이나 타이틀, 앤딩크레딧 등을 만들때 사용합니다.
화면 오른쪽 상단에서 탭 마커를 클릭합니다.
왼쪽 상단의 화살표 방향에서 스크롤 택스트 를 만들고
빨간색 화살표의 탭 마커를 선택합니다.
아래쪽 화살표의 창에서 정렬 방식을 고르고,
줄자 위에 화살표를 표시해 줍니다.
그럼 표시된 곳에 노란 줄이 생깁니다.
정렬 방식에 따른 글자 배열입니다.
앤딩 크레딧 만들기
title> new title > default Roll ( 기본 역할 ) 을 선택합니다.
엔딩 크레딧 만드는 법입니다.
텍스트로 글을 써 주고 저장합니다.
한글이 나오지 않을때는 한글 폰트로 바꾸면 됩니다.
만들어진 타이틀을 클립에 배치합니다.
제목 01 의 길이에 따라서 글씨가 올라가는 속도가 달라집니다.
가로로 움직이게 만들고 싶으면
제목 > 새 제목 > 기본 크롤 을 선택합니다.
default crawl
편집후 저장을 위해서는 File>Export>media 에서 Export setting 으로 들어갑니다.
유투브 업로드용 고화질 영상을 만들 예정이므로 형식은 MPEG2 로
사전 설정은 HDTV 1080 29.97 고품질을 선택합니다.
비디오에서 세부 설정값을 맞출 수 있으나 그냥 놔둡니다.
확인을 누르면 adobe midea encoder 가 실행 되고 대기열을 시작시키면 랜더링이 시작됩니다.
드롭 프레임과 넌 드롭 프레임
우리나라 방송 시스템으로 NTSC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은 초당 29.97 프레임을 갖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영상 규격은 초당 30프레임 이므로 초당 0.03 프레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극히 미세하지만 장시간 영상 편집하는 동안엔 프레임이 어긋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드롭 프레임 타임 코드를 사용하는데
드롭 프레임 타임코드는 매 분마다 59.29 프레임 다음에 1.00.00 으로 표시하지 않고
1.00.02 로 표시합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 프로 cs6 무작정 따라하기 (0) | 2014.03.17 |
---|---|
데이터 통신 #1 (0) | 2014.03.06 |
겨울 왕국 올라프 그리기 (0) | 2014.02.15 |
겨울왕국 엘사 그리기 [튜토리얼] (0) | 2014.02.12 |
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9 |
겨울 왕국 올라프 그리기
겨울 왕국 올라프 입니다.
올라프 하면 롤의 올라프만 생각났는데, 그 올라프가 아니더군요.
밑 그림을 먼저 그립니다.
이번엔 기본 브러쉬로 느긋하게 그려갑니다.
둥글둥글 눈 코입 위치도 그리고, 몸 크기나 위치도 한번 잡습니다.
위쪽 레이어의 오퍼시티를 줄이고 새 레이어에 덧 그립니다.
진하고 크게 위치를 잡습니다.
브러쉬도 그리는 도구고, 지우개도 그리는 도구입니다.
펜 선을 얇게 하기 위해 그리고 지우고를 반복해서 묘사합니다.
이게 스케치에 자신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흐리고 슬금슬금 안보이게 만들어
잘 그린 것 처럼 보이게 그립니다!
앞에 그렸던 엘사와 같이 배치 해 봅니다.
아직까지 색을 칠할 엄두는 나지 않네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1 (0) | 2014.03.06 |
---|---|
프리미어 cs4 배우기 (0) | 2014.02.20 |
겨울왕국 엘사 그리기 [튜토리얼] (0) | 2014.02.12 |
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9 |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8 |
겨울왕국 엘사 그리기 [튜토리얼]
일러스트레이터 '석가' 님이 오늘의유머에 남겨주신 튜토리얼을 따라 그렸습니다.
링크 : http://todayhumor.com/?humorbest_828831
겨울왕국의 엘사 튜토리얼입니다.
따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 분은
원문 링크로 따라가시길
조금 정리가 되면서 윤곽을 마무리 했습니다
뭐 덧니는 사랑이니까요.
색칠은 역시 엄두가 나질 않네요. 음영 넣는 것 마저도 두렵네요.
선으로 대충 따는건 언제나 괜찮은데, 다음 단계를 갈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일러스트 레이터 석가님이 페인터로 그린 엘사입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 cs4 배우기 (0) | 2014.02.20 |
---|---|
겨울 왕국 올라프 그리기 (0) | 2014.02.15 |
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9 |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8 |
인공 유산의 문제 (0) | 2014.02.07 |
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조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바꾼다.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조건문을 만드는 방법 if 문
영어에서 if 를 사용하는 문장이 어떤 조건을 제시하듯이 c 언어에서도 if 문으로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분기하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c 언어에서 if 문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if 라는 키워드 옆에 있는 괄호 안에 조건을 입력하고 해당 조건이 맞으면 내용을 수행하게 됩니다.
만약 if 문이 중괄호 로 묶여있다면 중괄호 안에 있는 내용을 수행합니다.
입력 받은 숫자를 홀수와 짝수로 구별합니다.
while 을 통해 무한 루프를 만들었고,
scanf 로 숫자를 입력 받아 a 로 저장합니다.
첫번째 if 문에서 입력받은 a 의 숫자가 0 이라면 break 를 실행해 while 무한 루프에서 빠져나옵니다.
else if 문에서 입력받은 a 를 2로 나누어서 나머지가 0 이라면, 2로 나누어지는 숫자이기 때문에 짝수입니다.
else 에서 2로 나누었을때 나머지가 발생한다면 홀수입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종료를 알리는 return 0 을 반환합니다.
while 무한 루프는 동일합니다.
숫자 0 을 입력하면 if a== 0 에서 break 를 실행하여 종료합니다.
scanf 로 숫자 a 를 받아 for문으로 진입합니다.
for 문에서는 숫자 b 는 1이고 100이 될때까지 순환합니다. 루프 1번당 b 는 ++ 됩니다.
1부터 100까지의 증가하는 숫자 b 가 입력 받은 숫자 a 로 나누어 떨어진다면 출력합니다.
1~100까지의 숫자중 입력받은 숫자의 배수가 출력됩니다.
조건문을 만드는 방법 switch ~ case 문
무한 루프 while 은 동일.
입력 받은 숫자가 1,2,3 일경우 case 1,2,3, 에 걸려 printf 출력과 break.
123이 아닐경우 default 출력 이후 break
일반적으로 switch 문이 if else 문 보다 간결합니다.
가독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switch 문의 조건식에는 비교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왕국 올라프 그리기 (0) | 2014.02.15 |
---|---|
겨울왕국 엘사 그리기 [튜토리얼] (0) | 2014.02.12 |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8 |
인공 유산의 문제 (0) | 2014.02.07 |
성매매 논의 (0) | 2014.01.24 |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반복문
while 문의 기본 문법
while 의 사전적 의미 - ~ 하는 동안
컴퓨팅 세계에서 while 문의 의미는 어떤 조건이 참 인 동안 반복해라 라는 의미
while (조건식 )
반복문의 시작
{
반복할 내용
}
반복문의 종료
while 의 무한 루프 - 무한 반복문
종료되지 않고 무한히 실행되는 반복문.
while ( 1 )
{ 내용 }
무한 루프 프로그램의 강제 종료는
ctrl + c
중첩 while 문
while 속에 또 다른 while
구구단을 2~9단까지 반복.
입력받은 숫자를 단으로 출력
반복문 : for 문
for 문의 기본 문법 - ~ 하는 동안
조건이 참인 동안 계속해서 반복할 것.
for ( 초깃값 ; 조건값 ; 증감값)
반복문 시작
{
내용
}
반복문 종료
for 문의 무한 루프
중첩 for 문
구구단 프로그램
임의응 양의 정수 (n) 을 받아 1~100사이에서 n의 배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입력 ( 양의정수 ) : 7
7의 배수 : 7 14 21 28 ...
7의 배수 개수 : 14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왕국 엘사 그리기 [튜토리얼] (0) | 2014.02.12 |
---|---|
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9 |
인공 유산의 문제 (0) | 2014.02.07 |
성매매 논의 (0) | 2014.01.24 |
개성과 직무의 조화 (0) | 2014.01.24 |
[인공 유산의 문제]
1. 용어 정의 와 역사적인 상황
* 유산 ( abortion ) 이란 태아가 성숙하여 분만에 이르기 전 사망하는 경우를 총칭
자연 유산 ( spontianeous abrtion )
인공 유산 ( induced , artificial abortion )
- 정상적인 성장 , 분만이 기대되는 태아를 인위적으로 제거 -> 사회 윤리적 문제
* 인공유산 반대자
- 태아를 human, individual , person......으로 표현
- 태아도 인간임을 강조, 유산은 곧 살인
* 인공유산 찬성자
- 태아를 a thing in the woman
- 태아는 여성에 의존, 여성의 결정이 우선
** 가치 중립적인 문제가 아니라서 찬성자, 반대자의 표현에서부터 찬성과 반대를 드러냄
* 태아 란?
- conceptus(임신 되어진 무엇) > 라틴어에서 비롯된 신조어 , 가치 중립적인 용어
* 인공유산 - 찬 & 반의 기본 논점이 분명하게 제시 됩니다.
[ pro - life 와 pro - choice 사이의 대립 ]
1) pro - life > 태아의 생명 존중, 인공 유산 반대
- 태아도 인간으로서의 고유한, 존귀한 생명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인간 생명 존중 원리' 의 적용 대상입니다.
- 인공 유산은 명백하고 의도적인 살인입니다. 범죄로 규정하고 처벌 받아야 합니다.
2) pro - choice > 임신 여성의 선택과 결정, 자유를 존중합니다.
- 의존적, 불완전한 태아보다 완전히 성숙하고 독립적인 여성의 선택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 삶의 방식과 자신의 상황 등에 대한 여성의 선택과 결정이 선행 되어야 합니다.
- 국가는 여성의 건강을 고려하여 유산 허용 기간만을 규정해야 합니다.
* 역사적인 상황
1) 고대 그리스, 로마
- 남성 우월주의적 사고로 태아를 아버지의 소유물로 간주했습니다.
- 남성의 허락이 있는 경우 문제삼지 않았습니다.
* 기원 후 200년 대의 로마 ' 낙태죄 ' > 남성 허락 없이 여성 혼자 하는 낙태를 금지했습니다.
2) 중세 기독교 시대
- 교회법에서 유산을 금지합니다.
- 태아는 신의 의도와 목적을 담은 신의 피조물이고, 부모는 대리인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 인간 마음대로 유산하는 것은 신의 의도와 목적을 방해하는 종교적 죄악으로 규정합니다.
- 인간 성행위의 유일한 정당한 목적을 임신, 출산, 신의 의지를 실현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 이것 이외의 성행위는 비 도덕적이고 타락한 인간이 육체적, 본능적 욕구 추구를 위한 것임을 주장합니다.
( 모든 형태의 피임, 자유, 동성애 금지 )
3) 19세기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형법
- 태아의 생명을 존중하고, 여성의 건강 보호를 위해 유산을 금지했습니다.
4) 2차 대전 후 여성운동
- 여성 참여가 증가되었고, 유산 금지가 여성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주장하며, 인공 유산을 허용할 것을 주장합니다.
1967년 덴마크와 스웨덴, 1968년 네덜란드에서 인공 유산을 허용합니다.
* 현재의 법적인 상황
1) 독일의 경우
- 1974년 서독 신형법 218조 ( 12주 이전의 상태의 태아에 대한 유산을 허용 )
- 보수층에서 위헌 소송을 하여 당시 헌재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위배한다며 위헌 판결을 했고, 효력을 상실합니다.
- 1975년 동독 지역에서 여성 사회 참여를 근거로 유산을 허용 했습니다.
- 1990년 독일 통일로 신형법 218조가 부활했고,
위헌 소송에서 여성의 선택,권리 존중을 인정하여 합헌 판결을 받고, 인공 유산을 허용합니다.
2) 미국의 경우
- 1973년 연방 대법원 판례로 허용합니다.
- '3개월 이전 상태의 태아에 대한 유산을 금지하는 각 주의 법은 연방 헌법에 위배될 가능성이 있다'
> 여성의 자유로운 선택권이 우선입니다.
3) 우리나라의 경우
- 형법, 모자 보건법에서 태아 개월 수와 무관하게 인공 유산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낙태죄는 의료인과 임산부 모두 형사 처벌 받습니다.
- 예외 조항으로 네가지.
ㄱ. 임신 지속이 ' 여성의 건강을 크게 침해 할 경우 '
ㄴ. 여성과 배우자의 ' 유전적 질병 '
ㄷ. 여성과 배우자의 ' 법정 전염병 '
ㄹ. 강간, 근친상간에 의한 경우
예전에는 28주 이내인 경우 허용이었으나 현재는 24주 이내 허용으로 바뀌었습니다.
** 인공 유산이 안전한 시기는 임신 12주 이전이거나 3개월 이내입니다.
인공 유산 허용 국가의 80% 이상이 12주 이내로 규정합니다.
12주 이내의 인공 유산의 경우 정상 분만과 동일한 수준으로 안전합니다.
2. 인간 생명의 여러 기준
* 수정설
- 정자와 난자가 수정 되었을 때부터 인간 생명이 시작된다고 주장합니다.
수정란 - 태아 - 출생의 과정이 연속적, 유전적으로 동일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인간이라고 주장합니다.
> 인공 유산 반대자가 지지합니다.
- 따라서 임신 기간과 무관하게 모든 유산은 곧 살인이며 범죄입니다.
그러나 수정사실의 인식 불가능과 수정란의 불안전성 등의 이유로 현실적인 채택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두뇌 형성설
- 12주를 기준으로 두뇌가 형성되는 시기부터 인간으로 규정합니다.
- 현재 인공 유산 허용국의 70%이상이 12주 이내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 이론과 무관하게 여성의 건강만을 고려한 기준입니다.
* 체외 생존 가능성
- 28주 이후 모체 밖에서도 적절한 환경에서 생존이 가능해지는 시기부터 인간으로 규정합니다.
- 그러나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체외 생존 시기가 빨라지기 때문에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우리나라 예외 유산 기준인 24주는 의학적으로도 매우 위험합니다.
* 출생설
- 거의 모든 국가의 일반법 상의 기준입니다.
- 그러나 출생 이전의 모든 상태의 유산을 허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출생의 기준을 몇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ㄱ. 진통설 - 우리나라의 형법 기준입니다.
ㄴ. 일부 노출
ㄷ. 전체 노출 - 우리나라의 민법 기준입니다.
ㄹ. 독립 호흡
3. 인공 유산에 반대하는 논거 [ pro - life 의 견해 ]
* 태아도 한 인간으로 인정하고 유산은 곧 살인이라고 주장합니다.
> 수정란 때부터 인간으로 성장할 가능성과 잠재성을 소유하고 있고 그 과정이 연속적이고 동일합니다.
따라서 태아도 인간 생명 존중의 대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공 유산은 명백한 살인이며, 인간의 생명 가치와
존엄성을 침해하는 범죄 행위라고 주장합니다.
* 태아는 전혀 분만에 문제가 없고, 도덕적 문제도 없는 생명이기 때문에 더욱 사악한 살인 행위라 주장합니다.
안락사, 자살, 전쟁, 살인 등도 도덕적으로 많은 논란이 있는데 비해, 태아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결정으로만 이루어 지는 의도적인 살인입니다.
* 파급 효과 이론
- 허용과 동시에 많은 인공 유산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것은 대량 살인입니다.
- 성별 선호 등의 미신과 결합하면 사회적 부작용, 성비 불귱형, 성범죄 증가 등이 일어납니다.
* 유산은 여성의 건강에 위험합니다.
- 신체적으로 위험합니다. 유산시 기구와 약물 사용이 여성 신체를 손상시키며, 불임,자연 유산등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
- 정신적, 심리적으로 위험합니다. 유산이 여성에게 죄책감과 양심의 가책을 줍니다.
이것은 불임으로 이어지며 성에 대한 혐오등 정신적 질병을 야기합니다.
* 사회 보장의 확대
- 경제적인 이유에서 이루어지는 유산을 방지합니다.
- 많은 유산이 경제적 부담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경제적 지원과 보장을 확대합니다.
- 출생과 육아 지원은 미래세대를 위한 현 세대의 최소한의 의무와 배려입니다.
* 성 행위에 대한 책임 문제
- 임신은 성행위를 전제로 합니다. 자발적 성행위에는 책임이 따릅니다.
( 강간등 비 자발적인 성행위에는 책임을 지울수 없습니다. 법적으로 유산을 허용합니다.)
따라서 인공 유산은 성행위의 쾌락, 만족만을 추구하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비 도덕적 행위 입니다.
자신의 책임 회피를 위해 생명을 제거 하는 것은 사악한 행동 입니다.
4. 인공 유산에 찬성하는 논거 [ pro - choice 의 견해 ]
* 여성의 선택, 결정, 자유를 존중합니다. 임신한 여성은 완전하고, 독립적인,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자유와 권리가 있습니다.
자신의 삶의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은 기본 권리입니다. 출산, 유산 여부는 여성 자신이 심사 숙고해서 결정할 문제이고
개인의 사생활 영역이며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가가 유산을 금지 하는 것은 국가의 월권행위이고 간섭, 제한 할수 없습니다. 국가는 여성의 건강을 고려하여 허용 시기만 규정해야 합니다.
* 임신으로 무조건 어머니가 될 필요는 없습니다. 성인은 자발적 성행위를 선택했고, 이는 개인의 사생활 영역입니다.
마찬가지로 출산 여부도 여성의 선택 문제입니다.
* 유산 금지와 낙태죄는 남성 우월주의의 결과 입니다. 고대 남성 우월주의는 여성의 출산을 강요해왔고, 남성은 임신이 불 가능 하기 때문에 여성의 고통을 이해 할 수 없습니다. 도덕주의, 생명존중 등 추상적인 근거로 출산을 강요 할 수 없습니다.
* 여성의 사회 진출과 활동에는 임신, 출산의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유산의 금지는 여성의 사회 활동을 제한하고 남성이 그 이득을 누리게 됩니다. 이는 여성,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를 사회적인 차별로 이어가는 사회적 불평등과 비도덕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인공 유산의 경우와 수가 많은 것은 당연합니다. 특수한 상태의 전쟁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성인의 결혼과 성행위, 임신은 모든 사람들이 겪는 삶의 과정입니다. 국가가 유산을 금지하는 것은 사생활 침해입니다.
* 12주 이전 상태, 그리고 충분한 간격을 두고 3회 정도의 유산은 정상 분만과 동일할 정도로 안전합니다. 심리적 위험 역시 여성 스스로 극복이 가능한 문제이며, 원하지 않는 임신을 통해 출산할 경우 오히려 더 많은 부담과 충격을 받습니다. 자발적 성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는 방법 중 하나는 유산입니다. 여건,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의 출산이 더욱 태아에게 무책임한 것입니다.
5.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
1) 법과 현실의 괴리
- 법적으로는 금지되었지만, 현실적으로는 무제한 허용하고 있습니다.
불법 행위이기 때문에 기록이 전혀 없고, 이는 통계자료가 전무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회적인 보장과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2) 원시적으로 미개한 남아 선호 사상이 존재합니다.
- 성비 (sex rate ) 정상적인 사회에서 성비는 여성 100명당 남성 비율이 103명 입니다.
하지만 1990년대 우리나라의 한 지역의 성비는 남자가 187명이었습니다.
더불어 5년간 통계에서 첫째의 남자 비율은 110명이었으나 둘째는 170명, 셋째는 250명 넷째는 380명이나 됩니다.
이것은 미개한 남아 선호 사상이 존재하고, 굉장한 성비 불균형을 가져옴을 의미합니다.
PS. 유럽의 경우 인공 유산 금지가 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차를 타고 유산 허용 국가에서 유산을 한 후 돌아오면 됩니다.
[구체적인 토론 주제]
현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A가 있습니다. 이제 만 22세가 되었고, 남자 친구 B 와의 자발적 성행위 결과 임신하게 되었고,현재 임신 6주가 되었습니다. A 와 태아 모두에게 건강상의 문제는 없고, 건강한 임신 지속과 분만이 예상됩니다. B 는 현재 취업 준비 중인 상태이며, 당장 결혼하여 가정을 꾸릴 경제적 여건이 없는 상태 입니다. B 도 A 의 임신 사실을 알고, 자신의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A 의 결정에 최선을 다해 지원할 계획 입니다. A 는 출산과 유산중 어떤 결정을 해야 할까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9 |
---|---|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8 |
성매매 논의 (0) | 2014.01.24 |
개성과 직무의 조화 (0) | 2014.01.24 |
리더쉽 이론 (0) | 2014.01.24 |
1. 일반적 논의
* 성매매 - prostitution 한 사람이 경제적인 대가를 받기로 하고 자신의 육체를 성 행위 대상으로 제공하는 것.
네덜란드에서는 성매매를 허용하고 있고, Relax Bussiness 라고 표현할 정도로 개방 되었음.
* 역사적인 전개
- 선사시대, 가족 형성 이전에는 성매매가 일반적인 성 행위 방식 이었습니다.
남성이 식량을 제공하고, 그 대가인 성행위를 통해 2세를 얻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 고대시대에는 신전 여사제의 성 행위를 통해 신과의 합일 또는 신의 계시를 받는 등의 방식이 나타났습니다.
이후에도 남성 우월주의 시대에서는 대가를 지불하는 한 아무런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 중세시대, 기독교 시대에는 일반 여성을 강간, 범죄에서 보호하기 위한 사회악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기독교에서 면죄부( 벌을 없애기 위한 것) 를 발급할 때도 성 매매에 대한 항목 자체가 없을 정도로
죄악시 하지 않았습니다.
- 현대에 들어 성매매가 여성의 상품화, 억압이라는 주장이 생기면서 많은 국가들이 금지하게 되었습니다.
1980년대 이후 허용 & 금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성매매의 98%가 남성이 구매하고, 여성이 판매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남성 우월주의, 여성의 상품화라는 비판이 거세게 일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윤락행위 방지법을 통해 규제하고 있지만 " 유명 무실" 합니다
2002년 성매매 방지 특별법을 통해 엄격히 단속하고 처벌하고 있으나, 여전히 " 유명무실" 합니다.
2. 성매매를 반대하는 논거들.
* 성매매는 가장 질이 낮은 비 합리적인 성행위이며,
애정 & 감정의 교류 없이 욕구 충족, 해소 수준에 멈추는 동물적 배설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이 아닌 동물적 성 행위 수준이고, 이것을 허용, 조장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방식의 행위가 늘어날 경우 사회 전반에 성적 욕구, 본능 만족 수준의 질 낮은 성행위를 확산시킬 것이라 주장합니다.
ㄱ. 전통 도덕적인 면에서도 결혼 전 성행위 또는 혼외 정사입니다.
ㄴ. 남성, 여성 모두 상대방을 수단 시 하는 비 인격적 행위입니다.
남성은 여성을 욕구 충족 수단으로 생각하고, 여성은 남성을 경제적 이익의 수단으로만 보게됩니다.
ㄷ. 성매매는 사회 성 도덕을 타락 시키고, 가족의 신뢰를 해치는 결과를 낳습니다.
성매매는 가족의 신뢰, 정조, 충실의 의무에 반하는 비도덕적인 행위입니다.
* 더불어 성병 확산의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성매매 여성은 다수의 남성과 성 관계를 가지게 되고,
이것은 사회 전반의 건강과 보건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19세기 유럽의 경우 매독의 확산에 이바지 했으며, 현대에서는 AIDS 의 확산에 주요한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 성매매는 남성이 구매하고, 여성이 판매하는 부분이 전체의 98%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이는 여성의 상품화를 가져오고, 억압, 인권침해 등 불평등한 성 차별적 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여성의 육체를 금전적 매매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상품으로 수단, 도구화하는 폭력적이며 잔인한 행위입니다.
오직 상대를 욕구 충족의 대상으로만 보고 변태적이고 가혹한 행위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이는 여성이 대가를 받는다는 이유로 신체의 자유와 자기 결정권을 상실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더불어 성매매가 허용 & 확산 된다면 남성이 여성을 지매하고 억압하는 관행이 고착화 될 것입니다.
성매매를 찬성하는 사람들의 주장 중 " 역사적 관행이며 관습이기 때문에 수용해도 된다 " 는 잘못된 주장입니다.
역사적 전통이라 할 지라도 비도덕하고 사악한 전통은 제거하고 금지해야 합니다.
노예제도가 금지된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노예 제도는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지역에 등장했지만,
불평등하고 비도덕적이기 때문에 현대에는 금지되었고,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성 매매 금지는 여성의 열악한 생활과 인권 침해 방지를 위해서는 당연한 것입니다.
3. 성 매매를 찬성하는 논거들
* 성 매매 금지 또한 사회의 성적 억압과 편견의 결과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정신 & 육체적 능력을 활용하여 직업을 선택하고,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며, 삶을 영위합니다.
성 매매 역시 하나의 직업이기 때문에 " 성 상품화, 육체를 판매하는 행위" 등으로 비하, 비난, 금기시 하는 것은 편견입니다.
예를 들어 기업에 회사원으로 취직하거나, 공무원으로 취직하는 것 역시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능력을 판매하는 행위입니다.
성매매도 성 노동으로 표현하고 하나의 직업으로 인정하여 성적 금기와 편견에서 벗어난 사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성 매매 여성을 보호하고, 존중하여 정당한 사회적 평가를 내릴 필요가 있습니다.
* 성 매매 금지가 더 큰 부작용을 불러옵니다.
성매매 금지는 풍선효과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집니다.
( 풍선효과란 유독 물질 등을 풍선 안에 모아서 가두어 관리하면 안전합니다. 하지만 유독 물질 풍선이 눈에 도이는 자체를 부담스러워
하여 풍선을 터뜨립니다. 따라서 눈에 보이지 않게 전체에 확산되고, 관리 통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더욱 더 위험해 집니다. )
따라서 성매매를 특정 지역에서 허용하고 관리한다면, 충분히 사회적으로 통제가 가능하고, 여성을 보호 & 관리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 매매를 허용하는 것이 보기 싫어 금지한다면 풍선을 터뜨리는 효과와 정확히 동일한 결과를 나타냅니다.
성 매매 지역은 사라질 지 몰라도 성 매매 자체는 없어지지 않고, 사회 전체로 확산되고, 유포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관리 통제가 불가능해 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더불어 국가의 성매매 금지는 일종의 허위 의식이고, 자기 기만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우리 나라는 성 매매 없는 깨끗한 도덕적 국가라는 식의 환상 " 을 위한 것이지, 실상은 오히려 확산되고 전파됩니다.
현실을 인정하고 최선이 아닌 차선을 선택하여, 성매매를 허용하고 잘 관리해야 합니다.
* 성 매매를 일종의 사회적 필요악으로 간주하고 허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사회라도 자신의 성욕과 본능을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이 존재합니다.
성매매 금지로 인해 이런 사람들이 강간, 성 범죄를 저지르는 결과를 막기 위한 탈출구로 충분한 의미를 가집니다.
성 매매 보다 성 폭행 등의 성 범죄가 더 나쁘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미국의 성 사회학자 " 빌리오티 " 의 [ 성행위 도덕적 지수 평가 모델 ] 입니다.
사전동의 여부( 동의 :1 점/동의안함 : 0점) X ( 애정 + 전통 도덕적 고려 + 3자에게 미치는 영향 + 성적 착취 ) = 도덕적 지수
부부 사이의 도덕적 지수를 살펴 보겠습니다. 부부사이의 성행위는 사전 동의가 있으므로 1점, 애정은 10점 만점에 적당히 8점정도,
전통도덕적으로 이상 없으므로 10점, 3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기 때문에 10점, 성적 착취 없음 10점.
1점 X ( 8점 + 10점 + 10점 + 10점 ) = 38점.
결혼 전 연인사이의 성행위는 동의가 있으므로 1점, 애정충만 10점, 전통 도덕에서는 혼전 성행위이므로 적당히 7점, 3자에 미치는 영향 은 알려진다면 뭐 나쁜 시선으로 볼 수 도 있으니 7점, 성적 착취 없으니 10점.
1점 X ( 10점 + 7점 + 7점 + 10점 ) = 34점
성매매는 동의가 있으니 1점, 애정 없으니 1점, 전통 도덕적 고려는 역사적으로 크게 문제될 것 없음 7점, 3자에 미치는 영향은 굉장했다 3점, 성적 착취를 하기 때문에 0점.
1점 X ( 1점 + 7점 + 3점 + 0점 ) = 11점.
그렇다면 강간은? 동의가 없으니 0점. 뒤에 몇백만점을 가져와도 강간의 도덕적 지수는 0점 입니다.
0점 X ( 논의 가치 없음 ) = 0점!!!!
심지어 동성애를 생각 했을때도 1점 이상은 분명히 나타납니다.
중세 스콜라 철학의 전성기 때 " 토마스 아퀴나스 " 는 이렇게 말합니다.
" 성 매매는 궁전의 하수구 같은 것 " - 물은 더럽고 악취를 풍기지만, 하수구를 없애면 궁전 전체가 썩어서 무너질 것.
정숙한 일반 여성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회적 필요악으로 허용해야 한다.
* 가장 바람직한 현실적 대안은 국가가 허용하고 관리하는 " 공창제 " 의 도입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성매매가 금지되어 불법행위입니다. 따라서 여성이 부당한 대우를 받아 신고하면 오히려 처벌받게 되기 때문에
신고 자체가 불가능해서 더욱 열악하고 비참해 집니다.
간단히 생각하면 성매매 여성의 감금, 감시, 폭행, 지나친 행위, 강제 낙태 등 비 인간적인 대우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성 매매 자체가 원인이 아니고, 성 매매를 금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부작용 입니다.
따라서 성매매를 허용하고, 여성들을 국가가 관리, 보호하여 부당한 대우와 비 인간적인 상황에서 탈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국가가 건물을 사서 운영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음지에 있는 성 매매를 양지에서 관리하고 보호하는 의미입니다.
성 매매를 하나의 노동으로 생각하고, 여성들을 국가에서 관리하여, 주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게 하는 등의 관리를 의미합니다.
( 아래 내용은 위키 백과의 내용이며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공창제를 시행하여, 직업으로 인정하고 세금을 받는 국가는 "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터키, 네덜란드, 헝가리 " 등이 있습니다.
벨기에 에서는 공창제를 시행한 후, 마약과 인신매매, 성폭행, 살인 등의 강력 범죄가 44% 줄어들었고, 80만 달러의 세금을 더 걷어들였다고 했으며, 종사자의 대우도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허용과 금지를 둘러싼 논쟁을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종사자 들의 인권 향상을 위해 성 매매를 합법화 한 국가들도 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의 의견은 인권 향상에 실효성이 없다고 합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장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0) | 2014.02.08 |
---|---|
인공 유산의 문제 (0) | 2014.02.07 |
개성과 직무의 조화 (0) | 2014.01.24 |
리더쉽 이론 (0) | 2014.01.24 |
2011.04 (0) | 2014.01.15 |
개성과 직무의 조화
개성을 설명하는 5가지 일반적 특성
1. 외향성 - 대인적 관계에 우호적, 사교적, 적극적이며, 편안한 정도
2. 친화성 -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정도
3. 성실성 - 책임감 있고, 믿을 수 있는, 끈덕진, 성취 지향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 같이 소수의 목표에 집중하는 정도
4. 정서적 안정 - 심리정 안정과 차분함, 평온한, 열렬한, 그리고 자신 있는 정도로 긍정적 감정상태 경험
5. 개방성 - 관심의 범위가 넓으며 상상력이 풍부한, 창조적인, 예술적으로 민감한,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즐겨 고려하는 정도.
개성과 행동 예측
1. 권위주의 성향 - 조직 구성원 간에 신분과 권력 차이가 있어야 하며, 지위와 권력의 활용이 조직 목표 달성에 효과적이라고 믿는 정도.
2. 권모술수 주의 성향 - 순수하게 사적 이득을 위해 권력을 획득하고 다른 사람을 조종하려는 행동을 지시하는 경향
3. 자부심 - 성공에 대한 기대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것으로 자신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정도.
4. 자기 감시 - 자신의 행동을 외적 상황요소에 따라 조정하려는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는 특성
5. a 형/ b 형 성격 특성
a 형 성격 - 조급성, 경쟁지향적, 적대적, 성취지향적, 완전주의 지향적이며, 권력과 책임 있는 지위 추구
b 형 성격 - 덜 경쟁적이고, 덜 직무 헌신적이며, 시간의 긴급성을 강하게 느끼지 않는 느긋한 성격
6. 위험인수 성향 - 기회를 택하려는 의지로 위험을 부담하거나 회피하려는 성향
지각
1. 지각의 의미
- 사람들이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선택하고, 조직하고 해석함으로써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지적 과정
** 태도, 개성, 가치, 관심 등의 개인차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동일한 것을 다른 방식으로 ' 봄 '
지각 과정의 4가지 단계
1단계 - 자극 감각 = 미각 후각 청각 시각 촉각과 같은 감각기관을 통해 환경으로부터 감각적 데이터 주시
2단계 - 지각 선택 = 우리의 마음이 데이터를 스크린하고 더 처리할 항목들만 선택
3단계 - 지각 조직화 = 선택된 정보를 해서고가 반응을 위한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화
4단계 - 지각 해석 = 개인의 성격, 욕구, 경험 그리고 가치관을 바탕으로 해석하여 의미 부여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관리
1. 스트레스 - 강한 자극에 대한 개인의 긴장 상태
2. 스트레스의 일반 적응 증후군 ( GAS )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일반 적응 증후군 ( GAS : General Adaptation Syndrome ) 으로 지칭되는 사이클을 따름
a. 경계 단계 - 맥박이 빨라지고, 근육의 긴장도가 감소하며, 체온 감소, 혈액 감소 등의 경보작동
b. 저항 단계 - 유기체가 스트레스에 적응하는 상태로써 이 단계에서 증상이 소멸되거나 유해자극이 지속될 경우 적응력 상실
c. 탈진 단계 -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모두 소모하여 신체 조직 체계가 탈진하여 신체 방어 능력 상실
3. 스트레스의 순기능과 역기능
a. 순기능 - 심신활동을 촉진시키고 활성화 시켜 문제해결에 창조력을 발휘하게 되며, 동기유발이 증가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
b. 역기능 - 심신 황폐화와 직무 성과에 부정적 영향
4. 직무 스트레스
a. 과업 요구 - 특별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요구하는 직무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소
b. 대인 관계 요구 - 조직에서 관계와 관련된 스트레스 요소
c. 물리적 환경 요구 - 직무 설정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소
d. 역할 요구 - 집단이나 조직에서 특정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기대되는 행동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소
5. 스트레스 영향과 관리
* 부정적 결과는 행동적 심리적 의학적 비지니스적 결과로 분석
a. 행동적 결과 - 스트레스가 담배, 술 또는 마약 남용, 그리고 과식과 같은 파괴적이거나 해로운 행동으로 이어짐
b. 심리적 결과 - 스트레스가 개인의 정신적 건강과 행복을 훼방
c. 의학적 결과 - 스트레스가 생리학적 행복에 영향을 미침
d. 비지니스적 결과 - 스트레스는 열악한 작업과 더 낮은 생산성 초래
*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
- 운동, 휴양, 시간 관리, 지원그룹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동기 부여
1. 동기부여란?
* 어떤 행동 과정을 추구하도록 하는 열의와 끈기를 불러 일으키는 힘으로 행동목적과 방향을 제시하는 심리적 과정
* 인간의 목표지향적 행동을 불러 일으키고 유지하는 영향력
* 인간은 욕구를 충족 시키는 특정한 행동을 일으키는 내적 긴장의 원인인 인정, 성취, 화페적 소득과 같은 욕구를 보유
-> 동기부여는 결국 욕구 충족 과정
2. 동기부여의 과정
* 미 충족 욕구 -> 긴장 -> 긴장완화 방법 탐색
-> 목표지향적 행동 선택 -> 성공 or 실패
3. 동기부여에 대한 접근 방법
a. 내용 접근 방법 - 사람을 동기 부여시키는 욕구를 강조하는 것으로 행동을 부추기는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탐색으로 동기부여 설명
ㄱ.maslow 의 욕구 단계 이론
-> 모든 인간은 5개의 욕구 단계가 계층 구조를 갖고 존재함
- 각 단계별 욕구 개념은 한 단계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될 경우
다음 단계의 욕구가 강력한 동기 부여 요인이 되는 우선 순위 시스템
1단계 - 생리적 욕구 - 지속 성장, 잠재력 성취, 개인적 발전 등 자기 완성의 욕구
2단계 - 안전 욕구 - 자존, 자주, 성취와 같은 내적 존경 욕구와 지위, 책임 , 인정 등 외적 존경육구
3단계 - 사회적 욕구 - 애정, 소속감, 인정, 친교 등 사회적 과정과 관련된 관계 욕구
4단계 - 존경의 욕구 - 자연의 위력, 적, 기타 위협으로 부터 육체적 안정과 심리적 안정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 - 배고픔, 갈정, 수면, 성적 만족 등 생존에 필요한 것을 충족
ㄴ.ERG 이론
- Maslow 의 5단계 욕구를 3가지 차원으로 축약
-> 한 차원 이상의 욕구가 동시에 동기부여 요인으로 작동, 좌절-퇴행 요소 포함
1. 존재 욕구 - 인간이 존재하는데 필요한 모든 형태의 생리적, 물질적 욕구
2. 관계 욕구 - 다른 사람들과의 만족스런 관계처럼 사회 지향적 욕구
3. 성장 욕구 - 인간의 잠재력 개발과 성장에 대한 욕구
ㄷ. Herzberd 의 2-요인 이론
- 동기부여& 위생이론 = 직무 만족 요인과 불만족 요인을 서로 분리, 각각 다른 차원으로 존재
-> 위생 요인을 제거할 경우 노동자들의 불만을 제거함으로써 작업현장에 평화를 가져올 뿐 동기부여는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주장
1. 동기 부여 요인 -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성취, 인정, 작업 자체, 책임, 승진 등 고차원의 욕구
2. 위생 요인 - 직무불만족을 가져오는 요인 - 감동, 기업정책, 급여와 안전, 지위 등
* 만족과 불만족의 독립적 연속선 개념을 제시하여 동기부여 요인과 위생 요인의 작용 영역과 한계 명시
전통적 관점에서 벗어나 위생 요인을 해결해 준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동기 유발을 하진 않는다는 관점
ㄹ. McGregor 의 x이론과 y 이론
1. x 이론 - 부정적으로 보는 관점 = 게으르고 일하기 싫어하며 책임을 지기 싫어함
2. y 이론 -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 = 일하기 좋아하고 헌신적이며 책임을 질 줄 앎
b. 개인적 목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충족되는지를 설명
ㄱ. 학습 욕구 모델 - 사람들은 욕구를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애동안 학습을 통해 획득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우치욕구, 권력욕구, 친교욕구 등 세 가지 주요 동기 내지 욕구를 아무런 순서 없이 획득
a. 성취욕구 - 높은 성공 기준을 달성하고, 복잡한 과업을 마스터하며, 다른사람을 능가하고자 하는 추진력
b. 권력욕구 -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력을 가지려는 욕구
c. 친교욕구 - 상대방에 의해 인정받고 좋게 여겨지기를 바라는 욕구
개인은 다양한 행동을 위한 잠재적 에너지 보유
-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욕구는 개인별 차이가 존재하므로 작업 환경 관리 필요
ㄴ. 목표 설정 이론
특정하고 해봄직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동기부여와 업적을 제고시킬 수 있음을 주장
목표 설정이 동기 부여를 증가시키는 이유
a. 바른 방향으로 에너지 집중
b.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도록 행동 유도
c. 더 높은 수준의 노력을 하도로 ㄱ자극
d. 자존심과 만족이 증가하고, 더 큰 동기부여와 사기 제고
핵심 구성 요소 4가지
a. 목표의 구체성 - 구체적이고 애매모호 하지 않은 정도
b. 목표의 난이도 - 야심적이면서도 성취 가능한 목표
c. 목표의 수용성 - 종업원들이 목표의 주인이 되고 거기에 헌신하는 정도
d. 목표의 피드백 - 목표성취를 향해 어느 정도 잘 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과정
ㄷ. 강화 이론 - 목표 기대 욕구 같은 요소를 무시하는 대신 인간의 행동과 결과 간의 관계, 행동과 결과에만 주목
결과의 법칙 (Law of Effect) - 긍정적으로 강화되는 행동은 반복되고, 강화되지 않는 행동은 반복되지 않음
ㄹ. 공정성 이론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얼마만큼 공정하게 대우를 받고있는지 처럼
사회적 교환 관계에서 얻어진 결과에 대한 정서적 관점으로부터 동기가 발생
>> 자신이 투입하는 것과 직무상황으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인식하고,
자신의 투입-산출 비율이 상대방의 것과 비교 > 절대적 보상뿐만 아니라 상대적 보상에도 관심
*지각된 불공정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장 공통적인 방법
a. 투입 변경 - 조직에 대한 자신의 투입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선택
b. 결과 변경 - 투입의 변화 없이 자신의 결과를 변경 시도
c. 인지적 왜곡 - 자신 또는 비교대상의 투입이나 결과에 대한 인지적 변경 또는 조정에 의해 균형 시도
> 투입과 결과를 변경시킬수 없을때, 다른사람을 폄훼하거나 자신의 가치를 왜곡
d. 사직 - 다른 직무로 전환하거나 사직
e. 비교대상 변경 - 비교대상인 준거 인물 변경
ㅁ. 기대 이론 - 여러 행동 대안들을 인지적으로 평가하고 가장 매력적인 대안을 선택하여 행동
동기부여는 어떤 사람이 얼마만큼을 원하고 있는 지와 그것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의존
a. 노력 - 성과 기대 > 노력이 높은 성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믿고 있는 주관적 확률
> 이 행동 대안을 선택하면 성공할 수 있는가?
b. 성과 - 보상 기대 > 어떤 행동의 성과가 특정한 보상이나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알고 있는 주관적 확률
>성공하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c. 보상의 매력도 또는 유의성 > 직무상 성취할 결과의 매력도나 가치로 보상에 부여하는 중요성을 나타냄
> 획득한 결과물은 얼마나 가치 있는가?
단순 기대 이론 모형
개인적 노력 > 개인적 성과 > 조직의 보상 > 개인적 목표
경영학 수업인데, 경영보다 잿밥에 관심이 더 많은 1인...
리더쉽 이론.
1. 의의 > 사람들로 하여금 목표를 성취하도록 영향을 미치고, 동기를 부여하며, 지시하는 능력으로 하나의 과정이자 성질
*공식적 리더십 : 공식 조직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해당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
*비 공식적 리더십 : 조직에 이익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는 비 공식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
2. 중요성 > 조직 설계의 불완전성 보환, 창의적 대응 주도, 내제적 갈등과 차이 극복, 노동력 안정성 확보
3. 리더쉽과 경영
리더 : 힘에 의존하지 않고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리더십은 경영을 대체할 수 없고, 경영에 추가되어야 할 특성
4, 리더십 이론 > 유능한 리더와 무능한 리더를 차별화 하는 행동을 식별하려는 리더십 이론
과업 중심의 행동 / 인간 중심의 행동
1) 아이오와 대학 연구
- Lewin 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리더십 스타일 연구로 독재형 민주형 자유방임형 리더십 등 세가지로 구분
a. 독재형 > 리더가 권한과 책임 보유/ 과제를 구성원에게 할당 / 하향적 의사소통
b. 민주형 > 상당한 권한 위양 / 참여적 의사결정 / 쌍방향 의사소통
c. 자유방임형 > 책입과 권한을 집단에 부여 / 구성원 스스로 작업 수행 / 수평적 의사소통
*독재형과 민주형은 유사한 성과를 거두지만 작업의 질과 종업원들의 만족은
민주형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Tannenbaum-schmidt( 타렌바움 과 슈미트 ?)
보스 중심적 리더십에서 부하 중십적 리더십으로 옮겨가야 한다고 권유
2) 오하이오 주립 대학 연구
-구조 위주 행동과 인간 배려 행동 등 2개 범주로 요약
a. 구조 위주 행동 - 과업 중심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리더 자신과 부하의 역할정의, 작업/작업관계/목표의 조직화 중시
b. 인간 배려 행동 - 인간중심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부하의 아이디어와 느낌 존중, 상호 신뢰에 기초한 직무관계 중시
-직무수행이 완벽하면서 부하들을 배려하는 리더가 바람직한 리더.
-그러나 대부분의 리더가 높은 인간 배려행동과 낮은 구조위주행동
또는 낮은 인간 배려 행동과 높은 구조 위주 행동 을 보인다.
3) 미시간 대학 연구
- 경영자와 종업원 모두에 대한 광범위한 인터뷰를 기초로 종업원 중심적 리더십과 직무 중심적 리더심이라는
두 가지 차원의 리더십 행동 스타일 제시
a. 종업원 중심적 - 높은 업적목표를 수립하고 종업원에 대한 지원적 행동을 보이는 리더들로
개인적 욕구 관심과 응집력 있는 작업 개발 지향
b. 직무 중심적 - 일정을 맞추며, 비용을 낮게 유지하고, 생산효율성 목표 성취, 그리고 직무의 기술적, 사업적 측면 강조
- 미시간 대학의 연구 결과는 종업원 중심적 리더를 강력히 권유
4) 경영 격자 - 인간에 대한 관심과 생산에 대한 관심으로 Managerial grid(경영격자)에 의해 제시
각 축에 1은 낮은 관심, 9는 높은 관심을 의미하는 9개 척도를 이용해 81개의 상이한 포지션 구성
9 친목 지향 팀 지향형
5 중용지향
1 무관심형 과업 지향
1 5 9
/*
리더쉽에서 많은 부분은 인간관계를 지향할 것인지, 과업 결과를 중요할 것인지로 구별 된다.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는 것은 힘들지 모르나, 지향 할 수는 있겠다.
인간 관계에만 치중하다보면, 결과물이 부실 할 수 있고,
결과에만 치중하다보면, 인간 관계 팀 내부 불화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어떤 리더쉽을 발휘하여 생활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안 할 수가 없다.
일은 일이고, 관계는 관계라고 생각하여 과업을 지향하되, 일에서 벗어난 부분에 관해서는 인간관계를 치중하는 방법도 있고,
일도 일이지만, 모두가 즐겁게 해야 한다며, 일과 관계 모두 잡으려고 할 수도 있겠다.
아니면 아예 선을 딱 긋고, 일은 일이고 사람은 사람. 둘 다 적당한 선에서 맺고 끊을 수도 있겠지.
*/
5) 리더십의 대체 - 부하 과업 조직의 특정한 요소들이 리더십 필요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
a. 대체제 - 리더의 행동을 무력화, 불필요하게 만드는 상황변수
>>전문적 직업훌련을 받은 부하, 응집력 높은 집단, 만족스런 작업
b. 중화재 - 리더의 행동이 부하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상황 변수
>>조직의 보상에 대한 무차별, 낮은 지위 능력, 리더와 부하의 물리적 거리, 엄격한 규칙
* 서번트 리더십 - Greenleaf 에의해등장한 섬김의 리더십 /
-인간 존중을 바탕으로 다른 구성원들이 잠재력을 발휘 할 수 있또록 도와주고이끌어주는 리더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 유산의 문제 (0) | 2014.02.07 |
---|---|
성매매 논의 (0) | 2014.01.24 |
개성과 직무의 조화 (0) | 2014.01.24 |
2011.04 (0) | 2014.01.15 |
c 언어 특수 문자 (0) | 2014.01.15 |
이건 연필로 스케치!
색연필로 채색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 유산의 문제 (0) | 2014.02.07 |
---|---|
성매매 논의 (0) | 2014.01.24 |
개성과 직무의 조화 (0) | 2014.01.24 |
리더쉽 이론 (0) | 2014.01.24 |
c 언어 특수 문자 (0) | 2014.01.15 |
c 언어 특수 문자
\a = 경고음 소리 발생
\b = 백 스페이스
\f = 폼 피드
\n = 행 바꾸기
\r = 캐리지 리턴
\t = 수평 탭
\v = 수직 탭
\\ = 역 슬래시
\` = 작은 따옴표
\" = 큰 따옴표